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TC-2000G
- 075형
- 071형
- F-35 초음속
- 본험 리차드
- 인도 국방비
- 인도네시아 공군
- T-129
- 알파제트
- 미니트맨 3
- 슈퍼 호넷 결함
- 와스프급 화재
- 테자스
- F-35B
- 아랍에미레이트 F-35
- 타이거 공격 헬기
- 슈퍼 호냇 블록 3
- 퀸엘리자베스급
- F-35B/C
- 원잠 사고
- F-16IQ
- GBSD
- BATU
- 경항모
- 인도네시아 전투기
- 이라크 공군
- 알타이 전차
- JL-9
- J-35
- F-35 문제점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8)
린스 링크

각국의 F-15 업그레이드 이야기입니다. 미 공군은 F-15E 의 수명 연장 (2040년까지 운영)을 위한 새로운 주익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새로 장만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었습니다. 한편 미국과 애증의 관계인 중동의 사우디 아라비아는 미국으로부터 F-15E 의 파생형인 72기의 F-15S 를 도입했고, 추가로 F-15SA 를 도입하면서 2012년 F-15S 68기를 F-15SA 에 준하는 사양으로 개량하는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F-15S 와 F-15SA 는 에비오닉스나 기체 구조, 제어 시스템까지 전혀 다른 기체였기 때문에 F-15S 를 F-15SA 사양으로 개조하려면 플라이 바이 와이어를 내장한 주익과 동체 일부도 교환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개량 작업을 하면서 떼어낸 F-15S의..

경항공모함 함재기로 자주 거론되는 F-35B 이야기입니다. 지난주 영국 의회 국방위원회 질의에서, 영국이 조달하기로한 F-35B의 수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영국 국방부의 답변이 나왔습니다. 영국 국방부 차관 리처드 나이튼은, "영국 왕립 해군 (이하 "영국 해군"으로 합니다) 항공모함을 위해 F-35B 보유 기수를 늘려야 한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향후 "템페스트" (영국의 차세대 전투기 개발 사업) 개발 투자와 관련해 달라질 것이며 2025년은 되어야 F-35의 도입 규모를 확정할 수 있을 것... (중략) 항공모함의 작전 항행을 위해 48기 이상의 F-35B를 구입해야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향후 4년 동안 추가 발주는 없을 것이며, F-35B의 최종 도입은 138기 이하가 될 수 있다" 고 발언했습니..

우리나라 4.5세대 차기 전투기 사업의 파트너인 인도네시아 이야기입니다. 2020년 들어 인도네시아가 여러나라와 전투기와 잠수함 구매 협상을 한다는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우리나라와 공동 개발하기로한 차세대 전투기(KF-X/IF-X)가 있는데도 말이죠.급기야 오늘은 인도네시아를 방문중인 크리스토퍼 밀러 미국 국방장관 대행과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국방부 장관의 회담 자리에서 미국 측이 F-15 이글과 F/A-18 호넷에 대한 인도네시아 판매를 승인했음을 전달했다는 내용과 인도네시아 측에서는 최대 100기를 구입하고 싶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현재 인도네시아 국방부의 전투기 구입 협상은 여러나라와 진행 중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지난 인도네시아 대선에서 2번이나 패배한 프라..

맘 고생이 심한 오스트리아 공군의 최근 근황 이야기입니다. 오스트리아 공군은 1985년 스웨덴 공군이 사용하던 중고 사브 35 드라켄 24기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1987년부터 운용을 시작합니다. 이 기체들은 J-35D 형식의 기체로 2문의 30mm 기관포와 2발의 단거리 미사일을 장착하고 외부 무장 탑재 상태에서 최대속도 마하 1.5, 전투행동반경 430km의 성능을 갖추고 있었고, 오스트리아 공군에서도 별다른 사고 없이 만족스럽게 운용했습니다. (형식명은 드라켄 OE 였습니다) 2002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노후화 되어 가는 전투기를 새로 마련하기로 했고, 도입 경쟁 기종은 사브의 JAS-39 그리펜과 록히드 마틴의 F-16, 유로파이터 유한회사의 타이푼으로 압축됩니다. 당시 가장 저렴했던 그리펜의 기..

영국 왕립 해군 (이하 "영국 해군"으로 줄여 적겠습니다) 이야기입니다. 아크로열이 1979년 퇴역한 이후 영국 해군은 CTOL 고정익 전술기를 운용하는 항공모함이 없었습니다. 영국 해군은 포클랜드 전쟁 당시 VTOL (수직이착륙) 전술기인 해리어를 탑재한 경항공모함들로 전쟁에서 승리하긴 했지만, 전력 투사의 아쉬운 점을 느껴 1980년대부터 제대로된 CTOL 전술기를 운용할 수 있는 항모 도입에 대한 검토에 착수합니다. 그렇게 해서 건조된 항공모함이 퀸 엘리자베스급이고 현재 2척이 취역해 있습니다. 퀸 엘리자베스급도 도입사업 진행과 건조 단계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고, 그 결과 CTOL 전술기가 아닌 VTOL 전술기인 F-35B를 운용하는 항공모함이 되었습니다. 30년만 (취역일 기준으로는 39년)에..

2020년 9월 27읿부터 11월 10일까지 진행되었던 나고르노카르바흐 전쟁은 전쟁에서의 무인기 운용과 대응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해 볼 과제를 남겼습니다. 이 전쟁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가 실효 지배중인 위성국 나고르노카르바흐 공화국 (미승인국으로 2017년 아르차흐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 측과 아제르바이잔 사이에 전개된 전쟁으로 초기 아제르바이잔군의 전격전이 실패한 것을 제외하면 시종일관 아제르바이잔군의 우세속애 진행되다가 사실상의 승리로 마치게 됩니다. 이번 전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무인기 (UAV)의 대규모 활용입니다. 물론 아르메니아군에서도 2016년 4월 전쟁때의 경험으로 아제르바이잔군의 무인기 전력이 만만치 않음을 알고, S-300PS 3개 포대분 (러시아판 패트리어트로 불리는 중장거..